음악 & 축구

Guitar Lesson with Joyumn (32~41회)

고상 2016. 10. 8. 16:31

160420 

32nd Lesson 


가장 안정적인 화음. 
Diatonic 코드로 코드진행 하면 어색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C Am Dm G 예시

Major

메이저 스케일의 근음에 3도씩 쌓아서 만든 것

Minor

마이너 스케일의 근음에 3도씩 쌓아서 만든 것 

Diminish 코드는 3, 5도 음을 반음 낮춘 것


Belief 

운지를 맞게 해야한다
리듬을 맞출 것
피킹이나 핑거로 가능 

Dm C B Am Gm F Dm Edim 

7th 코드 연습시 각 코드별로 이동한다 

존메이어는 거의 다이아토닉코드

처음엔 세련됏는데. 선생 토요 후지타? 꺼 한거야

160428

33rd Lesson 


Belief 

넌 그 음악을 듣고 즐길 수 있겠어?

너라면 그 음악을 듣고 춤을 출 수 있니?

너무 단조로워. 박자를 넣던지 강약을 조절하던지 해야지

리듬에 맞춰서 연주를 해야해. 헷갈리면 스트로크 하듯이 해도 되. 요령을 알려주는 거야. 

좀더 자연스럽게 슬라이드를 넣어 주면 소리가 좋다.

Arpegio

무슨 음인지 입으로 말하면서 할 것

Bluse 

미국 문화가 블루스를 기반으로 발전해 왔기 때문임. 

12 Bar 


160510 ,160524

34th, 35th Lesson 


빌리프 

손이 더 편한 포지션으로, 뉘앙스만 살면 사실 어느 지판을 짚는지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피킹의 업다운 보다, 끈적한 느낌을 내기 위한 꾹꾹 눌러서 치는 것이 더 중요하다

12bar progression

코드를 여러 리듬으로 자유롭게 배킹해줄 수 있어야 한다

코드톤은 Key 중심의 솔로잉이 아니라 코드 중심의 솔로잉이다. 비주얼을 상상하면서 천천히 연습해야 한다.


160602

36th Lesson

기록 없음


160608

37th Lesson

기록 없음


160622

38th Lesson


Little wing

나무가 아닌 숲을
음표가 아닌 전체를
큰 그림을 그리면서 연주를 해야

한번에 다 치려고 하지말고
나눠서 리듬을 익히면서 연습해야 한다

세부적인 리듬이있다

이곡은 바텀음이 들리게 연주해야
곡마다 어떤 음이 들리게 연주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

소리가 나야 하는 부분은 명확하게 나야 한다

왜 연주를 이렇게 했는지도 봐야한다. 어떤 코드 안에서 움직였는지. 


Am blues

블루스 반주는 코드가 되던 아르페지오가 되던 관계 없다. 안정적인 리듬 안에서 유지하면서 상대방이 연주할 수 있게 해야한다

아주 편안한 상태에서 반주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몸에 익어야 

한번에 전부 코드톤을 익히려고 하지 말고
부분부터, 1도 3도 부터 모양을 눈에 불을 키고 찾아야 한다. 한 블럭만 익혀도 된다. 

부분으로 나누고, 나만의 리듬을 가지고 연습하는 것을 반복해야 한다.

내가 리듬 안에서 연주하고 있는지 느끼면서 연주 해야 한다

많이 친다고 좋은게 아니다. 듣기 좋게 쳐야 하고 듣기 좋은 연주는 안정적인 연주. 



160630

39th Lesson

기록없음



160714

40th Lesson


메트로놈 없는 연습은 무의미 하다

Am 펜타토닉 스케일과
Am 코드톤 섞어서 치기

코드 진행 1 6 2 5

Major 7th chord tone

나의아이 백킹


160728

41th Lesson

CM Am7 Dm7 G7 

코드마다 두마디

각 코드의 첫번째 마디에 근음 코드톤

코드톤 자체가 따라가다 보면 그 다음 코드로 바로 변환 가능함 

리프 만들기
리듬에 맞춰서 먼가를 계속 치는게 중요함
처음 부터 뭐가 나오지는 않음
뭔가를 치자다가 한두개가 나옴

그 나온 하나를 가지고 리프를 만듬 
하나의 트랙에 하나의 리프로 솔로를 만든다
리프는 뭔가 거창한게 아니다

생활성가
코드톤으로 뮤트해서 빈 공간에 연주 하기
연주하지 않아도 된다